본문 바로가기
임신과 출산

개월별 태아의 성장 발달, 초음파 사진 보는 방법

by jjuni_m 2023. 2. 19.

 

개월별 태아의 성장 발달


1. 개월별 태아의 성장 발달

- 임신초기 (1개월~3개월)
1개월은 태낭(아기집)이 형성되는 시기이며 태아는 아직 너무 작아 보이지 않습니다. 이때에는 초음파를 보아도 태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어려우며 임신이 되었는지, 잘 유지되고 있는지 정도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임신 2개월이 되면 심장이 생겨 심장박동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아직은 심장의 형태를 다 갖추지 못해 2개의 혈관이 튜브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장기의 분화가 시작되며 뇌와 신경세포의 80% 정도가 만들어집니다. 탯줄이 생기기 시작하고 머리가 몸 전체 길이의 2분의 1을 차지하는 이등신이 됩니다. 사람다운 모습을 갖추는 시기는 3개월이 되어야 합니다. 꼬리가 없어지고 머리와 몸통을 구별 지을 수 있게 됩니다. 얼굴 골격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입술과 턱, 뺨의 근육이 발달합니다. 또한 손발이 만들어져 손가락, 발가락 구분이 가능해집니다. 이 시기부터는 배아가 아닌 태아라고 부르게 됩니다.

 


- 임신중기 (4개월~7개월)
4개월이 되면 태아의 목둘레를 측정하여 염색체 이상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몸의 각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탯줄을 통해 영양분을 흡수하기 시작합니다. 근육 발달로 팔다리도 점점 두꺼워지고 손발톱도 자라납니다. 성기도 완성되어 성별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태아가 웅크리고 있어 자세에 따라 판별이 어려울 수 있고 초기에는 여아의 대음순이 남아의 성기처럼 보이는 경우도 있어 후기에 더 정확히 판별할 수 있습니다. 임신 5개월에는 망막이 발달하는 시기로 태아는 빛의 자극에 반응할 수 있습니다. 초음파상으로 손가락, 발가락 개수를 확인할 수 있고 움직임이 활발해져 엄마가 태동을 느낄 수 있게 됩니다. 임신 6개월이 되면 양수의 양이 늘어나면서 태아는 자궁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움직임이 많아 태아의 위치가 자주 바뀔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시기에는 머리카락이 짙어지고 눈썹도 자라납니다. 7개월에는 팔다리와 머리둘레를 잴 수 있어 수치를 통해 주 수에 맞게 잘 자라고 있는지 확인이 가능합니다. 몸 전체를 태아 스스로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심장으로 흐르는 혈류의 세기로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임신후기 (8개월~10개월)
임신 8개월에는 신경이 활발해져 양수 안에서의 움직임이 더 활발해집니다. 폐 기능이 완성되지 않았지만 조금씩 호흡을 연습하기 시작합니다. 뇌의 크기가 커지면서 뇌 표면에 주름도 생기고 청각과 시각도 거의 완성되는 시기입니다. 9개월에는 피부의 주름도 펴지고 몸 전체가 통통해집니다. 피부는 붉은색에서 살색으로 바뀌고 체형은 신생아와 비슷해집니다. 골격이 완성되어 가기 때문에 태아의 움직임에 엄마가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머리가 엄마의 골반 쪽으로 내려가는 시기이지만 거꾸로 두고 있는 역아도 있을 수 있습니다. 10개월에는 초음파를 통해 태아의 크기를 재고 무게를 추정합니다. 탯줄을 감고 있지는 않은지 양수의 양은 적당한지 파악하여 분만 시기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 시기의 태아는 규칙적인 생체 리듬을 형성하고 출산을 대비해 모체의 골반 속으로 집어넣으며 손발을 앞으로 모은 자세를 취하고 있습니다.

 

 


2. 초음파 사진 보는 방법

초음파 사진 보는 방법

초음파 검사는 임산부와 태아가 위험하지 않게 임신 주수, 태아의 건강 상태, 출산 시기 등을 바로 알아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통 임신 초기에는 질 속에 진단장치를 넣어 검사하는 질식 초음파, 중기 이후에는 복부에 변환기를 대고 진단하는 복식 초음파 검사 방법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임신 초기부터 후기까지 복식 초음파 검사만으로 태아의 상태를 확인해 주는 병원도 있을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초음파 사진을 받으면 알 수 없는 영어들과 숫자들이 함께 쓰여 있습니다. 그럼 초음파 용어를 알아볼까요?


- GS : 자궁 크기, 태낭 크기 (임신 5주 전까지 많이 사용)
- GA : 추정되는 임신 주수(W는 주 수, D는 날짜를 의미)
- EDD : GA를 통해 산출한 출산 예정일
- CRL : 머리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
- AC : 복부둘레
- HC : 머리둘레
- BPD : 태아의 머리둘레와 주 수에 따른 평균 크기
- HL : 팔 길이를 잰 수치
- FL : 넓적다리 길이를 잰 수치, 체중 추정
- TTD : 옆구리 폭을 측정한 수치, 체중 추정

초음파 기계에 따라 표시되는 용어와 표시되지 않는 용어가 있을 수 있고 검사 시기에 따라 측정하는 항목들이 다르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