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1

신생아 목욕 준비물, 목욕 방법 1. 신생아 목욕 준비물 먼저 목욕 시 필요한 용품을 준비합니다. 탕온계, 욕조 2개, 영유아용 바디워시 또는 비누, 샴푸, 일반 수건 1장, 신생아 목욕 타월 1장, 가제 손수건 1장, 소독약, 면봉, 손톱 가위, 보습제, 갈아입힐 옷과 기저귀가 필요합니다. 먼저 탕온계는 목욕물을 맞추는 용도로 사용하고 탕온계가 없다면 팔꿈치를 물에 넣어 온도를 체크합니다. 욕조 하나는 목욕물, 하나는 헹굼물로 사용합니다. 신생아 이후에도 계속 사용하므로 등받이 있는 욕조를 구입하면 좋습니다. 영유아가 사용할 수 있는 전용 바디워시나 비누를 사용하고 샴푸로도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 있다면 한 가지 제품으로 준비합니다. 방바닥에 물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 수건을 욕조 밑에 깔아 두면 좋습니다. 목욕 타월은 .. 2023. 3. 5.
산후조리 방법 (환경 구성, 생활 습관, 음식) 1. 산후조리 방법 - 환경 구성 출산 후 6주까지를 산욕기라고 합니다. 산욕기는 산모의 몸이 출산 전의 상태로 회복되는 시기를 말합니다. 이 시기에 산후조리를 잘하지 못하면 산후풍이나 산후 우울증이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산모가 지내는 공간은 너무 덥거나 춥지 않아야 하므로 22℃에 맞추고 건조할 때는 가습기를 틀어 놓아야 합니다. 더우면 땀으로 인해 감염 또는 탈진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적정한 온도를 잘 맞추고 공기 순환이 되도록 환기를 자주 시켜주어야 합니다. 산모는 찬 바람을 쐬면 혈액순환이 되지 않으니 환기를 시킬 때는 아이와 함께 다른 공간으로 이동합니다. 관절 부위가 노출되지 않도록 옷을 잘 챙겨 입고 체온 유지에 신경 써야 합니다. 옷을 입을 때에는 헐렁한 옷을 입되 여러 벌을 .. 2023. 3. 4.
신생아 증상들 (구토, 황달, 영아산통, 태열, 발진 등) 1. 신생아 주요 증상들 신생아들에게 나타날 수 있는 증상들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 가장 흔한 증상은 구토입니다. 식도와 위를 연결하는 곳이 덜 발달해 잘 열리므로 음식물을 게워낼 수 있습니다. 수유 후 트림시킬 때 구토를 할 수 있으며 소화가 잘되지 않으면 수유 후 한 시간 뒤에도 토를 할 수 있습니다. 수유 후에는 반드시 트림을 시켜주고 토를 할 때는 토사물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고개를 돌려주어야 합니다. 유독 잘 게워내는 아이들이 있지만 아이의 체중에 문제가 없고 정상적으로 잘 자라고 있다면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젖을 잘 먹지 않고 구토만 하거나 설사를 동반한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태어난 후 일주일 동안은 암녹색의 태변을 볼 수 있습니다. 이는 배 속에 있.. 2023. 3. 3.
신생아 신체, 행동 특징 1. 신생아 신체 특징 신생아는 아직 망막이 성숙하지 않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습니다. 생후 6개월 이전에는 시력이 0.1~0.25밖에 되지 않습니다. 눈 맞춤이 가능하지만 초점거리는 30cm가 채 되지 않습니다. 한 달 이내에 흑백을 인식하므로 초점 책이나 흑백 모빌을 보여주면 반응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는 엄마의 얼굴을 잘 바라보아도 얼굴의 전체적 형태나 윤곽만을 볼 수 있고 자세한 모습을 보기 어렵습니다. 1.0 정도의 시력은 18개월 이후에 발달합니다. 신생아는 체지방이 부족하고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미숙합니다. 체중이 적게 나가는데 신체 표면적이 넓어 주변의 온도 변화나 작은 움직임으로 인한 체온 변화가 심합니다. 이는 체내 자동 온도 조절 장치를 작동하는 갑상샘이 덜 자랐기 때문.. 2023. 3. 2.